코드스테이츠 PMB/데일리 과제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니콘내콘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은 무엇일까?👀 | W8D1

햄스텅 2022. 10. 14. 22:06

들어가며

 

8주 차에 들어가며 프로덕트 개발 방법론에 대해 배웠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애자일 방법론에 공부했는데, 애자일 방법론이란 팀이 계속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공하는 관리 프로세스이다. 또한 애자일은 워터풀 방식에서 사용하는 화면 설계서, 스토리보드 대신 유저 스토리와 백로그를 사용한다. 

유저 스토리는 고객 입장에서 서술하는 하나의 서비스 사용에 대한 이야기이다. '~는, ~를 위해서 ~, ~를 원한다'라는 형식으로 사용된다. 오늘 배운 유저 스토리를 적용하여 과제를 시작해보도록 하겠다! 

 

주제: 문제 or 개선점을 사용자 스토리 형식으로 작성하기

 

1. 본인이 관심을 갖고 있는 프로덕트 or 자주 쓰는 프로덕트를 선정해주세요.

 

 

선정한 프로덕트는 기프티콘 거래 플랫폼 '니콘내콘'이다. 이전에 chips(기프티콘 구매 플랫폼)라는 프로덕트를 분석하면서 다양한 브랜드의 기프티콘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곳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분석 후 chips를 자주 이용하게 되면서, 종류가 많이 없는 것이 아쉬웠고 유사한 프로덕트를 찾던 중 니콘내콘을 발견했다. 

 

니콘내콘은 기프티콘 거래 플랫폼으로 사용자는 구매와 판매 모두를 할 수 있으며, 종류가 1만여 종으로 매우 다양하다. 앱 스토어에서 기프티콘을 검색하면 가장 최상단에 뜰만큼 누적 다운로드 수도 많다. 기사에 따르면, 8월에는 누적 거래액 1000억을 돌파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160%를 기록했다고 한다.


2. 해당 프로덕트에서 고쳐야 할 문제, 개선했으면 하는 기능을 사용자 스토리 형식으로 작성해주세요.

- 사용자 스토리 작성 시 선정한 배경 또는 이유도 같이 작성해주세요.

 

니콘내콘을 사용하면서 생각한 개선점 3가지는 위치 기반 추천 기능 추가 할인율 필터 기능 추가 ③ 가격 변동 추이 공개이다. 

 

① 위치 기반 추천 기능 추가

- 니콘내콘 유저들이 기프티콘을 누구를 위해 구매할까? '나'를 위해 구매한다고 생각한다. 선물 용도라면 카카오톡의 '선물하기'기능을 사용할 것이다. 기프티콘 캡처본만 줄 수는 없으니까. 그렇다면 '나'를 위해 기프티콘을 언제 구매할까? 미리 구매하는 사람보다 결제 직전에 구매하는 사람이 훨씬 많지 않을까? 기프티콘을 구매하고 사용하지 않게 될 수도 있을 테니까 말이다.

 

- 현재는 하단의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총 4가지 종류의 추천 기능이 있다.

 

 

① "이 상품을 구매하러 오셨나요?" => 최근 구매한 상품 및 클릭한 상품과 연관되는 상품인 것으로 추청 된다.

② "TOP 10 브랜드" => 구매율 순으로 10가지를 추천한다.

③ "새로운 콘이 들어왔어요" => 최근 등록된 기프티콘을 노출시킨다. 

④  "땡철이 데려가세요" => 할인율이 가장 높은 기프티콘을 노출시킨다. 

 

- 현재의 4가지 추천 기능은 ①번을 제외하고는 개인 맞춤화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구매로 전환되기가 어렵다. 그저 "니콘내콘에 이런 브랜드가 있고 종류가 이렇게 다양하고, 할인율이 이렇게 높은 것도 있어!"라고 말하는 것 같다. 사용자 입장에서 내 주변 카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프티콘만 모아서 보여준다면 카페를 하나하나 검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편리함을 느낄 것이다. 사업가치 측면에서도 유저가 구매로 전환되도록 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 생각되는 '위치 기반 기프티콘 추천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 

 

WHO:   니콘내콘 사용자는
WHY:   주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프티콘을 모아보기 위해서
WHAT: 위치기반 추천 기능을 원한다. 

 할인율 필터 기능 추가

 

- 니콘내콘 유저들은 절약을 위해 앱을 통해 최저가를 찾는데에 시간을 소비하는 사람들이다.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누리고 싶어 하지 않을까?

 

- 나를 예로 들면, 지역화폐 카드는 10% 적립을 해주기 때문에 기프티콘 할인율이 10%가 되지 않는다면 지역화폐 카드로 결제하기를 원할 것이다. 다른 유저는 신용카드 혜택과 비교하고 구매를 결정할 수도 있다. 

 

- 니콘내콘의 유저 특성상 '할인율'은 가장 중요한 정보이며, 구매를 결정짓는 요인이기 때문에 '할인율 필터'를 통해 다양한 혜택과 비교하기에 용이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WHO:   니콘내콘 사용자는
WHY:   다양한 혜택을 비교하기 위해 
WHAT: 일정 수준의 할인율만 볼 수 있는 할인율 필터 기능을 원한다.

③ 가격 변동 추이 공개

- 앞서 언급했듯이, 니콘내콘 유저들은 기프티콘을 최저가에 구매하기 위해 시간을 사용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기프티콘의 가격이 계속 변동된다면(볼 때마다 가격이 달라지는 경우) 구매를 망설이게 된다. 

 

- 유저들을 위해하루 전 판매 가격과, 이틀 전 판매 가격을 공개한다면 유저 입장에서 오늘의 가격이 합리적인지, 비싼 가격인지 판단할 수 있다. 

 

WHO:   니콘내콘 사용자는
WHY: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하기 위해
WHAT: 최근 며칠간의 판매 가격을 알고 싶어 한다. 

3. 작성된 사용자 스토리들 간의 우선순위를 정리하고 왜 이렇게 우선순위를 정리했는지도 작성해주세요.

 

- 우선순위는 오늘 배운 모델인 RICE모델사업가치 측면을 생각해서 정리해보겠다. 

 

- RICE모델

Reach : 얼마나 많은 수의 사용자에게 영향이 미치는지
Impact : 그 임팩트의 크기는 어떠할지
Confidence : 내가 측정한 위 R, I, E의 값에 얼마나 자신이 있는지(예, 구체적인 증거가 있다면 자신감이 높음)
Effort : 이를 수행하는 데 있어 드는 노력이 얼마나 클지 (시간, 인력)

최종 RICE점수는 = R*I*C* / E로 계산한다. 
최종 점수가 높을수록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낮은 노력을 들여도 되는 일이다. 

 

 

- (위치 기반 추천 기능 추가) 니콘내콘앱에 접속한 유저 모두에게 노출될 것이며, 팝업 형태로도 추천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은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했다.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임팩트도 클 것이다. '배달의 민족'의 포장 서비스도 위치기반으로 음식점이 노출되는데, 이 방법이 사용자에게 편리했고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배달 서비스처럼 맛집 랭킹이 아닌 거리순으로 노출되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서는 네이버나 카카오 지도의 API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문제가 있으며, API를 통해 개발한다고 해도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큰 노력이 들 것이라 예측했다. 마지막으로, 구매 전환과의 연관도는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 (할인율 필터 기능 추가) 현재 니콘내콘은 인기순, 할인율 순, 낮은 가격순, 높은 가격순으로 상품 정렬을 제공하고 있어서 임팩트는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고, 필터를 직접 선택하는 유저만 경험할 수 있어 영향력도 엄청 크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되었다. 또한 이미 정렬순서를 다양하게 개발했기 때문에 세부적인 기능 추가만 하면 되기 때문에 구현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라 예상했다. 다만 구매 전환과의 연관도는 유사한 기능이 있는데 좀 더 세부적으로 개선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리 크지 않을 것이다. 

 

- (가격 변동 추이 공개) 가격 변동을 공개하는 것은 니콘내콘에 주기적으로 접속해서 가격을 확인하는 유저들, 즉 리텐션율이 높은 유저들로 한정되기 때문에 영향력과 임팩트가 낮을 것이라 생각했다. 가격 변동을 공개하는 프로덕트는 '크림'이 있는데 한정판으로 기프티콘과 프로덕트 범주가 굉장히 다르다. 유사한 기능이 있지만 기프티콘에도 효과적일지는 미지수라 6점을 책정했다. 구현은 텍스트로 추가해도 되기 때문에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다만 구매 전환과 연관은 오히려 전환율이 줄어드는 역효과가 날 수도 있기 때문에 '하'로 생각한다. 

 

- RICE모델과 사업 측면을 고려한 우선순위는 ① 위치 기반 추천 기능 추가 >  할인율 필터 기능 추가 > ③ 가격 변동 추이 공개 순이다.


4. 실제로 어떤 식으로 변경되면 좋을지 자유형식의 화면 기획을 작성해주세요.

- 화면 기획은 피그마를 활용했다. 

 

① 위치 기반 추천 기능 추가

- "근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품 구경해보시겠어요?🔎"라는 문구로 가장 먼저 가까운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추천한다. 

 

(왼) 개선 전 (오) 개선 후

 

 할인율 필터 기능 추가

- '할인율 순' 정렬을 선택할 시 할인율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왼) 개선 전 (오) 개선 후

 

③ 가격 변동 추이 공개

- '판매 가격' 선택 시 1주일, 1개월, 3개월간의 판매 가격 정보를 볼 수 있게 한다.

 

(왼) 개선 전 (오) 개선 후

 

마치며

 

실제로 니콘내콘의 하반기 계획은 👉 시장 내 수요가 높은 F&B 브랜드 상품 집중 확대, '거리 기반 캐시백 서비스 로그미'개선, 고객 소비 패턴 분석을 기반으로 한 맞춤 상품 서비스 강화, 신규 기프티콘 상품에 한해 사용 가능한 선물하기 기능 추가이다. 내가 생각한 개선사항 1번이 맞춤 상품 서비스 강화와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위치 기반으로 제품을 추천하는 것이 판매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하여 1순위로 선정했는데, 니콘내콘은 어떤 생각일지 궁금하다🔎 앱을 사용하다 보니 위치기반 서비스 동의 절차가 없던데 기능 구현이 복잡해서 그런 건지..! 👀

암튼 카페를 갈 때 즉시 사용이 가능해서 너무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이 글을 보는 분들도 한번 사용해보시길..! 

 

참고

 

https://wowtale.net/2022/09/20/46066/

 

기프티콘 거래 플랫폼 ‘니콘내콘’, 누적 거래액 1000억원 돌파

스타트업 더블엔씨가 운영중인 기프티콘 거래 플랫폼 니콘내콘이 누적 거래액 1000억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고 20일 밝혔다. 니콘내콘은 2017년 서비스 출시 이후 연 평균 160%의 꾸

wowtale.net

https://inyongsuh.com/2020/07/07/rice-%EC%9D%BC%EC%97%90-%EC%9A%B0%EC%84%A0%EC%88%9C%EC%9C%84%EB%A5%BC-%EB%A7%A4%EA%B8%B0%EB%8A%94-%EB%B0%A9%EB%B2%95/

 

RICE – 일에 우선순위를 매기는 방법

퍼블리 뉴스에 큐레이션해서 올린 글입니다. 원문 : RICE, simple prioritization for product managers <RICE – Simple prioritization for PMs> Product Manager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가 바로 어떤 프로젝트나 태스크의 우

inyongsuh.com